공연안내 / Information

제130회 정기연주회

관리자 0 10776
♣ 공 연 개 요


        1. 공 연 명 : 제130회 정기연주회 “부산시민과 함께 하는 패밀리 콘서트”
        2. 장    소 :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3. 일    시 : 2008년 11월 9일 (일) 오후 7시 30분
        4. 주    최 : 서울신포니에타 
        5. 후    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SGI
        6. 티켓금액 : S석 30,000원, A석 20,000원, B석 10,000원
                      예매:티켓링크(1588-7890), 전화예매: 서울신포니에타 (02-732-0990)     
        7. 출    연 : 지 휘 /  김영준(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연 주 /  서울신포니에타
                      협 연 /  첼로 양욱진
        8. 공연문의 : 서울신포니에타 02) 732-0990~1



♣ 공 연 내 용 
     

P. I. Tchaikovsky        Serenade  “Allegro moderato”

R. Rodgers                Sound of Music   

J. Haydn                    Cello Concerto in  C-Major
                                  Moderato
                                  Adagio
                                  Finale allegro molto            V.Cello solo 양욱진


                                      intermission


W. A. Mozart              Sinfonie No.29, K.201  in A-Major
                                  Allegro moderato
                                  Andante
                                  Menuetto
                                  Allegro con spirito




♬ 서울신포니에타 프로필

전문예술법인 서울신포니에타는 바이올리니스트인  김영준에 의해 1987년 12월  창단된 직업 실내악단으로서 정상급 연주자들이 모여  실내악의 깊은 내면세계와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단체이다.
1988년 4월 피아니스트 예핌 브론프만을 초청하여 창단연주를 가진 이래 500여회의 의욕적인 공연을 통하여 국 내외 정상급 연주자들을 초청, 각종 연주회를 개최하였으며 고전에서 현대음악까지 다양한 레파토리로 폭넓은 음악적 영역을 형성하면서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2007년 한국음악 비평가협회로부터 한국음악대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음악의 본고장인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된 밀슈타트 국제음악제와 카라얀이 음악감독으로 있던 짤츠브르그 궁정음악제 및 2006 일본 쿠사추 아카데미 및 국제음악제에 정식 초청되어 연주회를 펼치므로서 현지 음악전문지와 언론사 및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음악적 평가를 받은바 있다.

  서울신포니에타는 국내 음악계의 선도와 발전을 위하여 매년 10여회의 정기연주회와 기획연주, 지구환경 보존을 위한 환경음악회, 음악계의 후진양성을 위한 청소년음악회, 공단 근로자 및 가족초청 음악회, 평소 공연장을 찾지 못하는 소외계층을 위한 방문연주회 등 다양한 연주회로 음악, 교육, 사회봉사의 역할에 노력하고 있으며, 실내악의 예술적 정신으로 미래를 향해 꾸준히 노력을 하고 있다.



지휘: 음악감독: 김영준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한국의 대표적인 바이얼리니스트 김영준은 국내의 김상대교수, 백운창교수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양해엽교수, 현해은교수에게 사사받고 오스트리아 비엔나 국립음악원의 프란츠 사모힐교수 문하에서 음악수업을 하였으며 동아음악 콩쿨에서 1위 입상했다.

 또한 러시아 그네신 아카데미 지노비에프 교수에게 지휘를 공부하였으며 연주활동으로 국내의 유명 교향악단을 비롯하여 프랑크푸르트 쳄버오케스트라, 모스크바 필하모닉오케스트라, 오사카 필하모닉오케스트라, 도니에츠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키에프 쳄버 오케스트라 및 키에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소피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와 협연하고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우크라이나, 일본, 프랑스,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불가리아 등 현지 연주회를 통하여 외국 평론가들의 절찬을 받아 국제 음악제와 오케스트라의 정기적인 독주자로 초청받고 있는 그는 정상급 연주자로서 확고한  기반을 다지고 있다.

  독주회와 협연, 실내악 연주등 많은 연주회를 가지는 그는 서울시립교향악단 악장을 역임하였으며 “난파음악상(87년)” “이달의 음악가상” “올해의 음악가상(90년)” “한국음악상(91년)” “그리고 오사카에서 열린 제17회 “World Peace Youth Culture Festival”에서  이탈리아 SGI로부터 “New Renaissance Award(97년)” 및 2007년 실내악 운동을 통해 한국음악과 사회에 기여한 공적으로 한국음악대상을 수상했으며 레코딩으로 "Apres un Reve" 소품집과 Beethoven Sonata"Spring & Kreuzer", Violin in Sweet Dream을 Camerata 레이블로 출반 하였으며, 스타 클래식에서 Wieniawsky-Violin Concerto No.2를 출반하였다.

  현재 서울신포니에타 리더겸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울시립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협연: 첼로: 양욱진 (부산시립교향악단 첼로수석)

 서울 태생 첼리스트 양욱진은 한국 첼로계의 거장 양재표 교수의 자제로 줄리아드 예비학교 (The Juilliard School Pre-College Division)에서 그의 음악 시절을 시작하여 줄리아드음대 (The Juilliard School), 메네스음대 (Mannes College of Music)를 거쳐 뉴욕주립대 스토니부룩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의 박사 (Doctorate of Musica Arts)과정을 수료 하였다. 그는 첼로계의 거장 알도 파리소 (Aldo Parisot)와 공부 한 뒤, 현재 뉴욕필하모닉 (The New York Philharmonic)수석 첼리스트인 카터 브래이 (Carter Brey)에게 수학하였고 대학원에서는 오라이언 스트링 콸텟 (Orion String Quartet)에 첼리스트인 티모시 에디 (Timothy Eddy)에게 사사하였다.

 그는 요요마 (Yo Yo Ma), 야노스 슈타커 (Janos Starker) 그리고 게리 호프만 (Gray Hoffman) 등의 페스티발, 독일 류백 (Lubeck)에서 열린 보리스 페르가멘쉬코프 (Boris Pergamenschikow)의 페스티발에 미국대표로 초청, 연주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화경향 콩쿠르, 예원 콩쿠르, 줄리아드 콩쿠르에서 우승, 줄리아드에서는 Rooney coffer 전액 장학금을 받았다.
또한, 카네기홀 (Carnegie Hall), 링컨센터 알리스 털리홀 (Alice Tully Hall at Lincoln Center), 머킨 콘서트홀 (Merkin Concert Hall), 케네디센터 (The Kennedy Center), 류백 콘서트홀 (Lubek Concert Hall), 라디오프랑스 (Radio France), 밴프센터 (Banff Center for the Arts), 세종문화회관, 예술의전당 등 세계 각지의 유명 홀에서 수 많은 리사이틀을 가졌으며,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줄리아드 오케스트라 (The Juilliard Orchestra), 코리안 쳄버 오케스트라 (Korean Chamber Orchestra of New York), KBS 교향악단, 플로프디브 국립 오케스트라 (Plovdiv State Orchestra), 아카데믹 심포니 오케스트라 (Academic Symphony Orchestra),몽클레어 쳄버 오케스트라 (Montclair Chamber Orchestra), 뉴 암스텔담 오케스트라 (New Amsterdam Orchestra), 부산시향, 포항시향, 진주시향등과 협연 하였다.

 또한, iTrio 멤버로서 피아니스트 정성흡과 함께 피쉬오프 쳄버 페스티발 (Fischoff Chamber Festival and Competition), 몽크레어 주립대 콘서트홀 (Montclair State University Concert Hall), 뉴욕주립대 콘서트홀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ncert Hall)등에서 수 많은 트리오 연주를 해왔으며,  iTrio 이외에도 양욱진은 활발한 실내악 연주를 해왔다. 카네기홀, 링컨센터, 케네디센터등에서 차세대 실력파 연주자들로 알려진 김수빈, Richard "용재" O'neill, Judy Kang등과 앙상블을 해왔고, 피아니스트 정성흡과 한국에서 베토벤 첼로 소나타 전곡을 연주하여 청중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격찬을 받았다.

 그는 뉴저지 모리스 주립대학교 (New Jersey County College of Morris)에서 음악교수겸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으로 재직하였고 뉴욕 아카데믹 심포니 오케스트라 (New York Academic Sypmhony Orchestra)와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Korean Chamber Orchestra of New York)에서 수석 첼리스트로 활동 해왔다.
 현재 2007년 5월에 귀국하여 부산시립교향악단 수석첼리스트로 재직 중이며 부산시립 교향악단 악장 김동욱과 피아니스트 정성흡과 함께 iTrio에서 활동 중이다. 또한 부산의 실내악을 활성시키기 위하여 부산챔버뮤직 소사이어티를 창단, 리더로써 활동 중이다.
0 Comments
Hot

인기 제131회 정기연주회

댓글 0 | 조회 10,682
♣ 공 연 개 요 ☞공 연 명 : 서울신포니에타 제131회 정기연주회 “Christmas Crescendo” ☞일 시 : 2008년 12월 24일 (수) 오후8시 ☞장 소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티켓가격 : S석50,000원, A석30,000원, B석15,000원 ☞주 최 : 서울신포니에타 ☞후 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SGI ☞출 연 : 지 휘/ 바이올린/ 김영준(서울시립대학교 교수) 협 연/ 소프라노/ 양기영(숙명여자대학교 교수) ☞공연문의 : 서울신포니에타 02) 732-0990~1 ♣ 프 로 그 램 P.I. Tchaikovsky : The Nutcracker Op. 71a – Overture Miniature (호두까기 인형 - 작은 서곡) J. Sibelius : Valse triste (왈츠) A. Vivaldi : L’Estro armonico Op.3 – Concerto No.10 in b (RV580) for 4 Violins (화성의 영감 – 제10번 4대의… 더보기
Now

현재 제130회 정기연주회

댓글 0 | 조회 10,777
♣ 공 연 개 요 1. 공 연 명 : 제130회 정기연주회 “부산시민과 함께 하는 패밀리 콘서트” 2. 장 소 :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3. 일 시 : 2008년 11월 9일 (일) 오후 7시 30분 4. 주 최 : 서울신포니에타 5. 후 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SGI 6. 티켓금액 : S석 30,000원, A석 20,000원, B석 10,000원 예매:티켓링크(1588-7890), 전화예매: 서울신포니에타 (02-732-0990) 7. 출 연 : 지 휘 / 김영준(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연 주 / 서울신포니에타 협 연 / 첼로 양욱진 8. 공연문의 : 서울신포니에타 02) 732-0990~1 ♣ 공 연 내 용 P. I. Tchaikovsky Serenade “Allegro moderato” R. Rodgers Sound of Music J. Haydn Cello Concerto in C-Major Moderato Adagio Finale allegro molto V.Cello … 더보기
Hot

인기 제129회 정기연주회

댓글 0 | 조회 11,466
서울신포니에타 제129회 정기연주회 Muss es sein? – Es muss sein! ( "그래야만 했나? – 그래야만 했다!" ) 베토벤의 마지막 작품인 현악4중주 16번의 4악장 첫머리에 써 놓은 수수께끼 같은 문구. 악보의 첫머리에는 "힘들게 내린 결심(der Schwergefasste Entschluss)" 이라고 적혀있다. 그 뒤에 2분의 3박자인 1주제 "솔-미-라b" 에는 "그래야만 했나? (Muss es sein ?)"이라는 한마디의 악보가 있고, 이어서 4분의 4박자인 2주제 "라-도-솔, 솔-시b-미"에는 "그래야만 했다!" 라는 4마디의 악보가 있다. 이후 4악장(Grave ma non troppo tratto)가 이 2개의 주제를 엮어 가면서 시작하게 된다. 후세에 거장이 남긴 이 문구에 대한 수 많은 예측이 난무하고 있는데, 하나는 죽음을 앞둔 고뇌에 찬 베토벤이 귀머거리인 자신에게 자문자답한 철학적인 내용이라는 추측도 있고, "가정부 급료를 그렇게 주어야… 더보기
Category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